☆ 최근 양적, 질적 측면에서 일자리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고용없는 저성장, 높은 청년실업, 노동시장 격차 확대 등 일자리가 크게 늘지 않고
일자리의 질도 악화되어 국민들의 고통이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특히, 에코붐 세대(91~96년생)가 2021년까지 본격적으로 고용시장으로 진입하게 되면,
향후 4~5년 동안 청년고용 여건이 악화될 전망입니다.
현재도 청년실업률이 사상 최고수준이며, 선제적으로 대응하지 않으면
호미로 막을 일을 가래로도 막지 못하는 우를 범하게 될 것입니다!
<일자리 정책>은 최고의 성장정책이고, 양극화 해소정책이며 복지정책입니다.
일을 하고 싶은 국민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하여 소득을 증가시켜야 소비가 늘고,
기업투자가 확대되는 경제의 선순환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우리 사회의 소득 불평등이 심화되고 있는 것은 고용 악화에 따른 소득 감소가 주요한 원인입니다.
일자리 문제를 해결해야만 경제적 불평등과 격차확대, 청년들의 좌절, 중년 가장의 불안,
노년의 빈곤, 저출산 등 많은 문제 해결이 가능할 것입니다.
<이미지 출처 : 일자리위원회>